부당해고 시 임금청구1 부당 해고가 무효 또는 취소 된 경우 청구할 수 임금 사용자의 정당한 이유 없이 부당하게 해고된 경우 근로자는 고용노동부 또는 법원에 부당해고를 다투어 해고가 무효 또는 취소가 된 때 청구할 수 임금의 기준이 무엇인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부당해고 무효 또는 취소 시 근로자가 청구할 수 있는 임금▶ 임금의 정의 및 소멸시효근로기준법 제2조 제1항 제5호에 따르면 임금이란 사용자가 근로의 대가로 근로자에게 임금, 봉급, 그 밖에 어떠한 명칭으로든지 지급하는 모든 금품을 말한다.이러한 임금은 근로기준법에 따르면 임금채권은 3년간 행사하지 아니하면 시효로 소멸한다. 라고 되어 있어서 최소 3년이내에 부당해고 등을 다투어야 할 것이다.▶ 부당해고 처분의 무효 또는 취소된 경우 근로자가 청구할 수 있는 임금해고처분이 무효인 경우 근로자가 지급을 청구할 수 있는 임.. 2024. 6. 17.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