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말농장 귀촌귀농

귀농 초보 농사꾼에게 추천하는 작물 TOP 5와 재배 방법 완벽 가이드

by 오촌이도 2025. 4. 23.
반응형

귀농 초기에는 수익보다는 성공 경험과 재배 자신감을 쌓는 것이 더 중요합니다.  따라서 재배가 쉬우면서도 관리 부담이 적고, 수요가 꾸준한 작물을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귀농 초보자도 쉽게 재배할 수 있는 작물 5가지와 함께, 구체적인 재배 방법에 관해 알아보겠습니다.

 

1. 상추 – 가장 쉬운 쌈채소 작물

재배 특징

  • 생육 기간이 짧고 수확이 빠름 (약 30~40일)
  • 재파종 없이도 수차례 수확 가능
  • 병해충이 적고 초보자도 쉽게 시작 가능

재배 방법

  • 파종 시기: 봄(35월), 가을(910월)
  • 재배 방식: 노지 또는 하우스, 베란다 플랜터도 가능
  • 간격: 줄 간격 15cm, 포기 간격 10cm
  • 물주기: 하루 1회 흙이 마르기 전에 충분히
  • 수확 시기: 파종 후 30일, 아래 잎부터 수확

 

귀농 초보 농사꾼에게 추천하는 작물 TOP 5와 재배 방법 완벽 가이드

 

2. 열무 – 빠르고 수요 많은 봄·가을 작물

재배 특징

  • 김치용, 나물용으로 수요가 많음
  • 단기 재배로 회전율이 빠름 (30~40일 수확 가능)

재배 방법

  • 파종 시기: 봄(35월), 가을(810월)
  • 파종 방법: 줄뿌림, 파종 깊이 1cm
  • 간격: 줄 간격 20cm, 솎음 후 포기 간격 5cm
  • 물주기: 2~3일 간격, 잎이 시들면 즉시 관수
  • 병해충 관리: 파밤나방, 무름병 예방 위해 물빠짐 주의

추가 팁: 수확 후 바로 김장용 열무김치나 시장 출하로 연결 가능

3. 부추 – 번식력이 강하고 1년 3~4회 수확 가능

재배 특징

  • 한번 심으면 수년간 반복 수확 가능
  • 잎이 가늘어 병해충 피해 적고, 관리가 쉬움
  • 봄철부터 가을까지 수확 가능

재배 방법

  • 정식 시기: 3월5월 또는 910월
  • 심는 방법: 포기나누기 또는 종근 식재 (5~10cm 깊이)
  • 간격: 포기 간격 15cm, 줄 간격 30cm
  • 수확 주기: 2~3개월마다 1회 수확 가능
  • 관리 포인트: 비료 보충과 배수 관리에 유의

귀농 준비 체크리스트, 성공적인 귀농을 위한 단계별 준비 가이드

 

귀농 준비 체크리스트, 성공적인 귀농을 위한 단계별 준비 가이드

귀농은 단순히 도시를 떠나는 것이 아니라, 삶의 방식과 환경을 완전히 바꾸는 인생의 큰 전환점입니다. 성공적인 귀농을 위해서는 철저한 사전 준비와 단계별 체크가 필수입니다. 이번 글에서

cpuholic.com

4. 감자 – 초보자용 고전 작물

재배 특징

  • 손쉽게 시작할 수 있으며, 봄·가을 두 번 재배 가능
  • 대량 재배가 가능하고 저장성도 좋음

재배 방법

  • 파종 시기: 봄감자(3~4월), 가을감자(8월 초)
  • 씨감자 준비: 3050g 크기로 썰어서 심기 23일 전 절단면 말리기
  • 심는 깊이: 510cm, 간격은 2530cm
  • 흙덮기(흙 북주기): 발아 후 20~30일, 한 번 더 흙을 덮어줌
  • 수확 시기: 파종 후 90일 전후

주의사항: 저온·다습에 강하지만, 장마철에는 배수 처리 필수

5. 방울토마토 – 소량 재배로 고수익 가능

재배 특징

  • 소면적에서도 수익성 높은 과채류 작물
  • 소비자 수요가 꾸준하고, 직거래 가능성이 높음

재배 방법

  • 모종 심기 시기: 4월 중순~5월 초
  • 정식 간격: 포기 간격 40cm 이상, 지지대 필수
  • 물 관리: 과습 금지, 하루 1회 또는 격일 관수
  • 비료 관리: 생육 초기에는 질소, 생식기엔 인산과 칼륨 중심
  • 수확 시기: 개화 후 40~50일, 적색 착색 후 수확

추가 팁: 노지보다 하우스에서 재배 시 병해충 피해 감소 및 고품질 생산 가능

맺음말

귀농 초기에는 노동 강도가 낮고 실패 부담이 적은 작물부터 시작하는 것이 안정적입니다.  상추, 열무, 부추, 감자, 방울토마토수요가 꾸준하고 재배법이 단순한 대표 작물로 초보 귀농인에게 적합합니다.

 

작물 선택 시에는 지역 기후, 토양 특성, 물 관리 가능성, 판로 확보 여부까지 고려해야 하며, 1~2가지 작물로 시작해 점차 확대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